에코프로에 공매도 잔고가 여전히 1조 2천억이 쌓여있다.
그럼에도, 연일 주가는 신고가를 갱신 중이다.

그동안 매도 리포트를 고수하면서,
목표가 45만 원을 고정해놓고, 수정하지 않는 증권사들은 결국 공매도 기관들을 위한 제스처였던가?
전 세계 2번째로 규모가 큰, 영국 FTSE 지수에 편입된지 3주가 된 이 시점에서,
공매도를 쌓았던 기관들의 바램과 다르게 주가가 계속 상승해버리니,
매일매일 계산되는 이자에, 주식으로 사서 상환해야 하는 부담이 점점 높아질 수밖에 없겠다.
에코프로 주식을 보유하지 않았어도,
공매도를 이긴 개미, 에코프로 주주들에게 박수를 치는 사람들도 생기고 있다.
대. 리. 만. 족...
그동안 개미들이 주식 투자로 돈을 벌기 힘들었던 원인 중 하나는 공매도임에는 틀림없다.
우리나라는 왜 공매도 상환에 기간 제한이 없는가~!!!
그래서, 돈이 많은 기관들은 공매도 쌓아놓고, 매도량이 늘어나니 당연히 주식이 하락하게 되므로,
자신들이 이득이 되는 가격까지 기다렸다가,
싸게 사서 대갚음하고, 이자 납입하고도 큰 수익을 벌수 있지 않았던가?
또, 거기에 동조하는 증권사 애널리스트들... 이번에 몇 명이 적발되기도 했다.
선매수 후, 후 매수 권유...
그럼 반대도 있지 않았을까? 선공 매도 후, 후 매도 권유...
고평가 논란 속 한동안 주가가 주춤했지만 테슬라 훈풍에 힘입어 코스닥 시장에서 다시 상승세를 탄 2차전지 대장주 에코프로 그룹주에 대한 관심이 개인을 넘어 기관 투자자들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주당 100만원 '황제주' 등극을 눈앞에 두고 있는 에코프로를 필두로 2차전지 핵심 소재 양극재 제조사인 에코프로비엠은 물론 상장을 앞두고 있는 비상장 계열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에 이르기까지 에코프로 그룹주 투자에 열을 올리는 모습인데요.
6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이 헝가리, 캐나다 지역 내 양극재 공장 시설투자 자금과 원재료 구입대금 조달 목적으로 발행한 4천4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물량에 사모펀드(PEF) 운용사와 증권사 자금이 대거 몰렸습니다.
주요 투자자들로는 스카이레이크(2천억원), IMM인베스트먼트(550억원), 프리미어파트너스(450억원), SKS프라이빗에쿼티(PE)(300억원), NH투자증권-우리PE(300억원), 이음PE(300억원), 신한투자증권(300억원), 중소기업은행(100억원), 키스톤PE(100억원) 등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발행 조건을 살펴보면 표면이자율 0%, 만기이자율 2%, 전환가격 주당 27만5천원으로 각각 책정했고 내년 7월부터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조건이 붙어 있습니다.
CB를 보유하고 있는 동안 기대할 수 있는 이자 수익이 턱없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지금보다 주가가 더 올라갈 것이란 기대감에 기관들도 일제히 베팅한 셈입니다.
지주사 에코프로의 무서운 폭등세를 지난 상반기 경험한 터라 2차전지 양극재 소재기업으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한 에코프로비엠도 지금보다 주가가 얼마든지 더 올라갈 것이라고 판단한 겁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들이 사실상 무이자로 돈을 빌려줘도 주식으로 돌려받으면 상당한 차익을 남길 수 있다고 본 것 같다"며 "기관 투자자들도 에코프로비엠 반등에 그만큼 무게를 싣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설령 주가가 지지부진하더라도 인수단은 발행일로부터 3년 뒤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할 권리를 갖고 있고, 주가 하락 시 전환가격이 조정되더라도 최초 전환가격 대비 75%(20만6250원) 이상에서만 조정돼 안정 장치를 확보했습니다.
:
중략...
:
증권가는 리튬가공(Innovation), 전구체(GEM), 양극재(BM), 재활용(CnG)으로 이어지는 2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의 수직계열화가 에코프로그룹의 가장 큰 강점인 만큼 기관들도 이같은 경쟁력에 주목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결국 현재보다 해당 기업들의 가치가 더 커질 것이라는 데 기관들도 베팅했다는 뜻입니다.
:
중략...
:
그러면서도 "기관 투자자들의 발빠른 투자 움직임으로 기관들 역시 에코프로 그룹주 상승에 베팅하고 있다는 게 드러난 만큼 개인 투자자들이 일찌감치 발굴해 낸 에코프로 그룹주를 향한 남다른 사랑도 어찌보면 이해가 가는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물론, 주가는 항상 미래의 실적 기대를 미리 반영한다고 했다.
그 말은 결국 모든 성장주의 공통적인 현상인데,
특히 몇 년 후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의 주식이라면?
이미 실적이 좋은데, 갈수록 더 실적이 폭발할 수밖에 없다고 예측되는 기업이라면?
내 돈을 투자하는 데 있어서, 다른 사람, 전문가라 하더라도, 무조건 맹신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선택은 나 자신이 하는 것이고, 그에 대한 책임도 자신이 스스로 져야 하는 법이다.
다른 사람의 말을 공부해서 검증하지도 않고, 매수하는 것은 "투자"가 아니라, "투기"일 뿐...
오른다면, 왜 이래~ 하면서, 탓하는 사람이야말로, "투자"가 아니라, "투기"를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투기"가 난무한 이 시점에서,
다시 한번 나는 지금 "투자"를 하고 있나? "투기"를 하고 있나? 되돌아보자.
'경제적 자유 > 기업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 포항 공장에 2조 투자 (0) | 2023.07.13 |
---|---|
에코프로, 8월 11일 MSCI 8월 리뷰 결과가 발표 (0) | 2023.07.06 |
에코프로 신고가 갱신 - 90만 8천 원으로 마감 (0) | 2023.07.03 |
증권사 리포트, 에코프로비엠 목표주가 상향, 30만원선 (0) | 2023.05.06 |
[에코프로] 이동채 에코프로 회장, “주주가치 위해 6천억 이익 포기” - 전환사채 600억 콜옵션으로 자사주 매입 후 소각 (0) | 2023.04.27 |